본문 바로가기
넷플릭스 유튜브 리뷰

[유투브 추천] 머니그라피 Moneygraphy

by 시간여행자_이오 2025. 1. 29.

안녕하세요 시간여행자 이오입니다.

 

오늘은 제 최애 채널 중 하나인 머니그라피를 들고왔어요.

사실 여기서 보는 서브채널은 B주류 경제학이고, 다른 서브채널은 보지 않습니다.

개인적으로 B주류 경제학 개인 채널을 만드는 게 더 도움이 될 것 같아요. 다른 채널들과의 시너지가 없는 것 같기 때문이죠.

 

머니그라피, 이 채널을 추천하는 사람은...

 이 채널을 추천하는 대상은:

  • 한국의 소비문화를 경제 관점으로 보고 싶으신 분 (그 힘을 함께 길러봅시다)
  • 여러 산업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, 다양한 기업들을 분석해보고 싶으신 분
  • 주식을 하시는 분
  • 썰 잘 푸는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싶은 사람

https://www.youtube.com/@Moneygraphy/videos?view=0&sort=dd&shelf_id=1

 

머니그라피 Moneygraphy

취향, 문화, 트렌드, 경제 ORIGINAL CONTENT BY TOSS © Moneygraphy, 2024.

www.youtube.com

 

머니그라피 추천 영상 세 가지

사실 머니그라피 채널은 시의성이 중요하기에, 그 시기에 보는 게 제일 좋고, 지금 채널은 휴식기를 갖는 중이라 영상 업로드가 없습니다. 살짝 뒤늦은 추천이죠.

 

그래도 인상깊게 본 영상 세 가지를 알려드리자면,

 

 

1. 탑티어 스타트업 투자자가 지금 주목하는 분야는? 알토스벤처스와 함께하는 K-스타트업 그리고 뷰티 이야기 | B주류경제학

 

첫 번째는 알토스벤처스의 희은님과 함께한 스타트업 이야기입니다.

B주류 경제학의 기본 구성이 호스트 분, 회계사 분, 그리고 현업에 계신 분 이렇게 세 분의 이야기를 듣는 것입니다.

처음에 시청자가 해당 산업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호스트분과 현업에 계신 분이 여러 설명을 합니다.

 

이로 인해, 채널의 가장 좋은 점 중 하나인 현업에 계신 분의 인사이트를 많이 듣게 됩니다. 희은님도 제가 몇 번 여러 스타트업 영상들에서 본 분인데요, 단순히 뉴스를 보는 채널이 아니라 현업에 계신 분의 생각이 나타나서 재밌답니다. 더불어 게스트분들의 성향도 함께 보여서 여러 영상들을 보다보면 참 재밌답니다.

 

그 후에 재무제표 혹은 여러 시장데이터를 통해 회계사님이 경제 시각에서 분석을 해주십니다. 정말 재미있고 여러 생각을 하게 해주죠!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OxMroZmmT4

 

 

2. 불닭볶음면은 클래식이 될 수 있을까? K-라면이 수출 효자가 된 숨은 배경 | B주류경제학

 

두 번째로는 삼양의 불닭볶음면. 라면시장에 대해서도 다루고, 여러 회사의 성장배경도 나타난답니다.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ZiWdN5z9NXY

 

 

 

 

3. 📚B주류경제학 책 출간📚 재무쟁이가 기업을 보는 기준은? 이재용 회계사가 알려주는 왕초보를 위한 재무제표 읽는 법 | B주류경제학

 

경영학과를 나온 저로서는 기본적으로 재무제표를 읽는 법을 배웠습니다.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 잊게 되는 법.

 

하지만 일반적으로 제가 finance분야에서 일은 하지 않는 평범한 직장인으로 재무제표를 볼 때가 있습니다. 바로 주식 투자 결정을 할 때죠. 물론 회사의 fundamental이 주가상승에 큰 요인이 되지 않지만, 같은 산업군에 있는 두 가지 기업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할 때, 혹은 신생기업 / 위험도가 큰 기업에 투자를 할 때 확인을 합니다. 학교에서 배울 때는 특히 recession이 올 때 재정건정성을 확인해야해서 주기적으로 확인해야한다고 배웠답니다.

 

그 외에 사업을 하고픈 분이라던지, 그런식으로 경제/경영 관점에서 세상을 보고싶은 분들은 이 영상을 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.

 

이 영상이 관련 재무제표들을 어떻게 보는지 편하게 설명한답니다.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eS5W0gx98e0

 

 

그렇다면 여기서 마무리를 하고, 다음에 또 제 기준 양질의 컨텐츠를 갖고 있는 채널을 소개하러 돌아오겠습니다.

 

안녕.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